IT/NAS

시놀로지 NAS 외부 접속 설정하기! QuickConnect!

ITeaStory 2020. 4. 5. 23:02

DDNS를 사용해서 외부 접속을 가능하게 만드는 방법을 지난번에 소개해 드렸습니다. 외부에서 접속하는 다른 방법이 있다는 것! 알고 계셨나요? DDNS보다 훨씬 더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.
바로 QuickConnect입니다.

QuickConnect는 외부에서 Synology NAS의 DSM으로 접근할 수 있게 도와주는 아주 쉬운 방법입니다.

DDNS방식은 포트 포워딩 설정하랴 DDNS 설정하랴 네트워크나 서버가 익숙하지 않으신 분들은 많이 헷갈리실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이 QuickConnect는 그런 복잡한 내용은 전혀 몰라도 아주 쉽게 설정하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.

Synology NAS에 QuickConnect 설정

우선 Synology DSM에 접속해서 제어판을 열어줍니다.

제어판에서 연결성 그룹의 QuickConnect 항목을 선택해 줍니다.
그럼 일반 탭에서 QuickConnect 설정을 위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.

우선 QuickConnect 활성화에 체크를 해 주시고 아랫부분에 있는 QuickConnect ID 부분에 접속 시 사용하고 싶은 ID를 설정해 줍니다.

그 ID는 하단에 보이는 예시처럼 http://QuickConnect.to/[id]의 형태로 DSM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
Synology NAS QuickConnect 설정

QuickConnect ID까지 입력하고 적용을 클릭하시면 QuickConnect 설정이 완료됩니다.
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.

이제 스마트폰이나 학교나 사무실의 PC에서 내가 설정한 QuickConnect 주소로 접속해 보세요.

다만 이 방법으로는 DSM으로의 접속밖에 할 수 없으니 FTP나 SSH 등 다른 방법으로 NAS로의 접근을 생각하고 있으시다면 DDNS는 설정해 두는 편이 좋습니다.
DDNS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.

2020/04/05 - [IT/NAS] - 시놀로지 NAS 외부 접속 설정하기! DDNS 설정

 

시놀로지 NAS 외부접속 설정하기! DDNS 설정

혹시 NAS를 구축해 놓고 집 안에서만 사용하고 계시진 않으신가요? 집에서 TV나 PC에서 자료 접근을 하고자 한다면 NAS를 구축해서 24시간 인터넷에 연결해 놓고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. 혹시라도 NAS를 구성해..

iteastory.com